건강

신경근기법(NeuroMuscular Techniques) NMT - 상부 승모근 평가

까꿍또복 2024. 5. 13. 17:35
반응형

 

치료법 중에 신경근기법이 있다. 이 기법을 이용해서 상부승모근을 평가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환자는 바로 눕힌다.

상부 승모근의 경부 섬유를 평가하기 위해 근육의 섬유를 목 부위로 정합니다.

근육은 목의 하부 근처에서 측면으로 어깨를 향해 주행하기 전에 등과 목의 양쪽에서 수직으로 극돌기 바로 옆에 위치합니다.

이 근육들은 윤활제 없이 경추 부위에서 엄지로 한번에 한쪽 또는 양쪽을 한꺼번에, 엄지와 다른 손가락을 이용하여 섬유를 쉽게 쥘 수 있다.

머리를 약간 젖히면 근육조직이 더 부드럽게 되고 쉽게 잡을 수 있다.

상부 승모근의 후두부는 결절과 단단한 띠를 촉진하면서 가볍게 손가락 마찰을 이용하여 검사할 수 있다.

환자의 팔은 근육의 긴장을 줄이기 위해 팔꿈치를 구부리고, 팔의 외전 시킨 상태로 놓는다.

상부 승모근의 상부 중심 섬유는 엄지,검지,중지로 촉진할 수 있다.

통증유발점을 확인하기 위해 엄지손가락 너비만큼 간격을 두고, 근육의 상부 섬유 전체를 따라 엄지와 나머지 손가락을 집게처럼 촉진하여 적용한다.

근육의 전면을 따라서 2-3개의 손가락으로 항력촉진을 하고, 이와 동시에 엄지손가락으로 근육의 후면에서 반대 압력을 적용하는 것은 유용한 방법이다. 

엄지 손가락이 심부의 전방 섬유에서 움직일 때 촉지할 수 있는 단단한 띠와 통증유발점이 느껴질 수 있다. 

정적인 집게 촉진을 적용하여 단단한 띠나 결절을 찾아낸 후, 통증이 연관 증상으로 나타나는지, 방사통인지 확인해야 한다.

상부 승모근의 긴장된 조직이 종종 얼굴과 눈에 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치료사는 중간 정도에 위치한 섬유에 엄지 손가락을 놓고 테이블 앞쪽에 앉아야 한다. 바로 여기에서부터 견쇄관절을 향해 측면에서 미끄러지듯 나아가야한다. 미끄러지는 동작을 여러 번 반복하면서 긴장된 근육의 심부의 결절이나 불편한 조직이 있는지 찾는다. 그리고 나서 엄지를 근복 중앙으로 다시 위치시키고, 척추를 향해 미끄러지는 동작을 실시한다. 이 동작을 여러번 반복한다.

이러한 동작은 평가에 도움이 되며, 짧아진 근육 분절을 확대시키고 단단한 띠를 늘리는데 효과적이다.

이중,엄지 글라이딩 동작은 양 끝을 향해 중심을 동시에 늘림으로써 적용할 수도 있다. 이 동작은 평가와 치료를 동시에 시행할 것이다.

 

부착부 통증유발점과 예민함은 중심성 통증유발점으로 인한 긴장과 관련될 수 있으며, 중심성 통증유발점이 비활성화될 때까지 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것이다. 중심적 통증유발점에 대한 경찰법 시행 후 부착부 통증유발점이 이완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부 승모근 부착부에 손가락이나 엄지의 정적인 압력을 적용해본다. 엄지손가락으로 정적인 압력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쇄골에 있는 승모근 부착부의 전면에서 비스듬하게 뒤쪽으로 적용한다. 상완신경총은 쇄골 깊은 곳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압력이 견봉쇄골관절에서부터 몇 개의 손가락 너비보다 더 중앙에 적용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압력이 깊숙하게 가해진다면 신경이나 혈관이 자극될 수 있다. 

 

이렇게 심부조직 평가를 하고 조직 상태를 확인한 다음, 압박과 미끄러짐을 적용하고 윤활제를 바르고 나서 다시 경찰법을 적용하여 조직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